본문 바로가기

언어 기초

[자바의정석 | Chapter 03 연산자] 연산자 1. 학습목표 연산자의 의미와 종류를 파악하고 각각의 성격을 이해할 수 있다. 연산자의 우선순위와 특성을 파악할 수 있다. 2.필요 개념 문장정리 연산자 연산자는 연산을 수행하는 기호이고 피연산자는 연산자의 작업대상이다. 연산자는 피연산자로 연산을 수행하고 나면 항상 결과값을 반환한다. 대입연산자를 사용해서 변수와 같이 값을 저장할 수 있는 공간에 결과를 저장해야한다. 변수에 저장된 값을 다른곳에 사용하거나 화면에 출력함으로써 의미있는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연산자의 종류 증감연산자 ++,-- - 피연산자에 저장된 값을 1증가 또는 감소시킨다 전위형++i은 값이 참조되기 전에 증가시킨다. 후위형i++은 값이 참조된 후에 증가시킨다. 부호연산자 +,- - 피연산자의 부호를 반대로 변경한 결과를 반환한다. .. 더보기
[자바의정석 | Chapter 02 변수] 데이터 형 1. 학습목표 기본형의 세부적인 내용을 이해할 수 있다. 형변환을 통해 서로다른 타입간의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2.필요 개념 문장정리 논리형 - boolean 논리형에는 boolean 한 가지 밖에 없다. true와 false중 하나를 저장할 수 있으며 기본값은 false이다. 대답,스위치 등의 논리구현에 주로 사용된다 대소문자가 구별되기 때문에 TRUE와 true는 다른것으로 간주된다. 문자형 - char 문자를 저장하기 위한 변수를 선언할 때 사용되며 단 하나의 문자만을 저장할 수 있다. 문자가 아닌 유니코드가 저장된다. 특수문자를 다룰 때에는 특수문자앞에 \(역슬래쉬)를 사용한다. 문자를 코드로 변환하는 것을 문자인코딩, 코드를 문자로 변환하는 것을 문자디코딩이라 한다. 정수형 - byte, s.. 더보기
[칼퇴족 HTML5 + CSS3 | Chapter 02 HTML 페이지 만들기] 태그, 요소, HTML 문서의 기본구성 1. 학습 목표 HTML문서의 기본구성과 태그,요소의 기본 성격을 이해할 수 있다 2. 필요 개념 문장정리 태그와 요소 HTML파일에서 정보를 표시하는 단어를 태그라고 한다. 모든 태그는 시작과 끝이 있다. 태그는 대소문자를 구분하지 않지만 입력 시간을 절약하고 가독성을 높이기 위해 소문자로 입력할 것을 권장한다. 내려쓰는 태그와 이미지를 삽입하는태그, 가로선을 표현하는 태그는 끝나는 태그가 없다. 시작하는 태그와 끝나는 태그사이에 존재하는 태그들을 요소라고 부르며 HTML 문서를 구성하는 기본단위이다. HTML문장구성 HTML5버전 페이지임을 선언하기 위해 로 입력한다. 페이지에 한번만 나오고 소문자로 입력해도 된다. 로 시작하고 로 끝난다 영어가 기본언어이기 떄문에 로 타이틀 태그는 제목을 표시한다... 더보기
[SQL 첫걸음 | 1장 데이터베이스와 SQL] 데이터베이스 1. 학습목표 데이터베이스와 데이터베이스서버에 대해 이해할 수 있다 2.필요 개념 정리 데이터베이스 데이터란 컴퓨터 안에 기록되어 있는 숫자를 의미하며, 이러한 데이터의 집합을 데이터베이스라 한다. 데이터베이스의 데이터는 하드디스크나 플레시메모리 등 비 휘발성 저장장치에 저장한다. 데이터베이스는 저장장치 내에 정리되어 저장된 데이터의 집합이고 이를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소프트웨어를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DBMS)라 한다. DBMS를 이용하여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할 수 있고 테이터를 추가하거나 삭제, 갱신하는데 이 때 필요한 것이 SQL이다. SQL은 관계형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RDBMS)을 조작할때 사용한다 SQL 명령은 3가지(DML,DDL,DCL)로 나뉜다. DML은 데이터베이스에 새롭게 데이터를.. 더보기
[예제로배우는자바스크립트 | 2장 데이터 형과 연산자] 변수와 데이터 형 1. 학습목표 변수에 대해 이해할 수 있다. 8가지 데이터 형(숫자,문자열,불,Null,Undefined,Bigint,객체,심볼)에 대해 이해할 수 있다. 2.필요 개념 문장정리 변수 변수는 데이터가 컴퓨터에 저장되는 주소이다. 변수를 선언하는 데는 var, let, const 세 개의 키워드가 사용된다. let을 이용하여 변수를 선언한 경우에는 언제든 필요에 따라 값을 재할당할 수 있다. const는 constant(상수)의 약어이다. const를 이용하여 선언된 변수는 값을 재할당할 수 없다. 따라서 값이 고정된 변수에 사용된다. 변수 이름 짓기 영어 알파벳, 숫자, _, $를 사용 숫자로 시작하면 안된다. 대문자와 소문자는 서로 다른 것 길게 지을 경우 _와 캐멀케이스 사용 데이터 형 기본데이터형 .. 더보기
[자바의정석 | Chapter 02 변수] printf(), Scanner 1. 학습목표 println()과 printf()의 차이를 알 수 있다. Scanner를 통해 화면에서 입력할 수 있다. 2.필요 개념 문장정리 형식화된 출력 - printf() println()은 변수의 값을 그대로 출력하므로 값을 변환하지 않고는 다른 형식으로 출력할 수 없다. printf()는 지시자를 통해 변수의 값을 여러가지 형식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지시자는 값을 어떻게 출력할 것인지를 지정해주는 역할을 한다. printf()는 줄바꿈을 하지 않는다. 줄바꿈을 하려면 지시자 %n을 따로 넣어줘야 한다. 지시자 %d - 정수의 형식으로 출력 %s - 문자열로 출력 화면에서 입력받기 - Scanner 3. 코드작성 Scanner의 사용 import java.util.*; pu.. 더보기
[자바의정석 | Chapter 02 변수] 변수의 타입 1. 학습목표 값의 종류에 따라 값이 저장될 공간의 크기와 저장형식을 정의한 것이 자료형이다. 자료형은 기본형과 참조형으로 나누어진다. 추가적으로 상수와 리터럴도 알아보도록 하자. 2.필요 개념 문장정리 기본형과 참조형 기본형변수는 실제값을 저장하는 반면, 참조형 변수는 어떤 값이 저장되어 있는 주소를 값으로 갖는다. 자바는 C언어와 달리 참조형 변수 간의 연산을 할 수 없으므로 실제 연산에 사용되는 것은 모두 기본형 변수이다. 기본형 : 계산을 위한 실제값을 저장, 모두 8개 / 참조형 : 객체의 주소를 저장, 기본형을 제외한 나머지 타입 새로운 클래스를 작성한다는 것은 새로운 참조형을 추가하는 셈이다. 기본형 변수와 같이 변수이름 앞에 타입을 적어주는데 참조변수의 타입은 클래스의 이름이다 Date t.. 더보기
[자바의정석 | Chapter 02 변수] 변수 1. 학습목표 변수의 의미와 초기화 방법을 이해할 수 있다. 변수 명명 규칙에 대해 알 수 있다 2.필요 개념 문장정리 변수 변수란 값을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상의 공간을 의미한다. 하나의 변수에 단하나의 값만 저장할 수 있으므로 새로운 값을 저장하면 기존의 값은 사라진다. 변수의 선언과 초기화 int age = 25; - 변수 age를 선언하고 25로 초기화 변수를 선언하면 메모리의 빈 공간에 변수타입에 알맞는 크기의 저장공간이 확보되고 앞으로 이 저장공간은 변수이름을 통해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변수의 초기화란 변수를 사용하 전에 처음으로 값을 저장하는 것이다. 변수를 초기화해야 사용할 수 있다 클래스변수와 인스턴스변수는 초기화를 생략할 수 있다. 변수에 저장된 값을 사용하려면 그저 변수의 이름만 적..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