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본형

[자바의정석 | Chapter 06 객체지향 프로그래밍1] 매개변수 1. 학습목표 매개변수에 대해 이해할 수 있다. 2.필요 개념 문장정리 기본형 매개변수와 참조형 매개변수 매개변수의 타입이 기본형일 때는 기본형 값이 복사되지만 참조형이면 인스턴스의 주소가 복사된다. 메서드의 매개변수를 기본형으로 선언하면 단순히 저장된 값만 얻지만 참조형으로 선언하면 값이 저장된 곳의 주소를 알 수 있기 때문에 값을 읽어오는 것은 물론 값을 변경하는 것도 가능하다. 3. 코드작성 class Data { int x; } class ReferenceParamEX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Data d = new Data(); d.x = 10; System.out.println("main() : x = " + d.x); change(d); S.. 더보기
[자바의정석 | Chapter 02 변수] 데이터 형 1. 학습목표 기본형의 세부적인 내용을 이해할 수 있다. 형변환을 통해 서로다른 타입간의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2.필요 개념 문장정리 논리형 - boolean 논리형에는 boolean 한 가지 밖에 없다. true와 false중 하나를 저장할 수 있으며 기본값은 false이다. 대답,스위치 등의 논리구현에 주로 사용된다 대소문자가 구별되기 때문에 TRUE와 true는 다른것으로 간주된다. 문자형 - char 문자를 저장하기 위한 변수를 선언할 때 사용되며 단 하나의 문자만을 저장할 수 있다. 문자가 아닌 유니코드가 저장된다. 특수문자를 다룰 때에는 특수문자앞에 \(역슬래쉬)를 사용한다. 문자를 코드로 변환하는 것을 문자인코딩, 코드를 문자로 변환하는 것을 문자디코딩이라 한다. 정수형 - byte, s.. 더보기
[자바의정석 | Chapter 02 변수] 변수의 타입 1. 학습목표 값의 종류에 따라 값이 저장될 공간의 크기와 저장형식을 정의한 것이 자료형이다. 자료형은 기본형과 참조형으로 나누어진다. 추가적으로 상수와 리터럴도 알아보도록 하자. 2.필요 개념 문장정리 기본형과 참조형 기본형변수는 실제값을 저장하는 반면, 참조형 변수는 어떤 값이 저장되어 있는 주소를 값으로 갖는다. 자바는 C언어와 달리 참조형 변수 간의 연산을 할 수 없으므로 실제 연산에 사용되는 것은 모두 기본형 변수이다. 기본형 : 계산을 위한 실제값을 저장, 모두 8개 / 참조형 : 객체의 주소를 저장, 기본형을 제외한 나머지 타입 새로운 클래스를 작성한다는 것은 새로운 참조형을 추가하는 셈이다. 기본형 변수와 같이 변수이름 앞에 타입을 적어주는데 참조변수의 타입은 클래스의 이름이다 Date t.. 더보기